사이프러스9 ㅣ 비온후풍경

상권분석의 핵심지표, '인구 대비 의원(개인 병원) 비율' 활용한 부동산 투자 전략

Search
인구 대비 의원 수(이하 인구–의원 비율)는 지역 의료수요 대비 공급 정도를 나타내는 핵심 지표로, 상권 분석과 부동산 투자의 유력한 보조지표로 활용된다.
의원이 많을수록(비율이 낮을수록) 의료 서비스 공급이 풍부함을 뜻하나, 과도한 공급은 경쟁 심화와 의료 폐업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반면 의원 수가 부족(비율이 높음)한 지역은 향후 의료시설 신설 수요가 기대되어 부동산 가치를 견인할 수도 있다.

전국 개인병원 분포 및 인구 대비 비율

2023년 기준 전국 의원(개인 의원) 수는 약 2만5천여 곳으로 추정되며(메디칼타임즈 자료), 지역별로 편차가 크다. 표 1은 주요 광역시도의 인구 대비 의원 수를 정리한 예시이다. 강남·수원·성남 등 서울·수도권 핵심 지역과 제주·광주·부산 등 일부 광역시는 10,000명당 의원 수가 전국 평균(약 5~6개)을 크게 웃돈다. 반면 농어촌·인구감소지역은 의원 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인구 10,000명당 4개 미만일 수 있다. OECD 지역개발보고서도 “도시와 지방 간 의료 인프라의 심각한 격차(Severe disparity)”를 지적할 만큼 대도시와 지방의 의료자원 분포는 불균형을 보인다.
*** 지역별 인구 및 의원 수(예시)
광역시도
인구(2023,명)
의원 수(개)
인구 1만명당 의원 수
서울특별시
9,600,000
8,500
8.9
부산광역시
3,300,000
2,300
7.0
대구광역시
2,400,000
1,770
7.4
광주광역시
1,500,000
1,000
6.5
대전광역시
1,500,000
1,100
7.3
울산광역시
1,100,000
650
5.9
인천광역시
3,000,000
1,950
6.5
경기도
11,900,000
10,500
8.8
강원도
1,500,000
750
5.0
충청북도
1,600,000
850
5.3
충청남도
2,100,000
1,050
5.0
전라북도
1,800,000
1,150
6.4
전라남도
1,900,000
900
4.7
경상북도
2,600,000
1,300
5.0
경상남도
3,400,000
1,900
5.6
제주특별자치도
700,000
470
6.7
자료: 가공 예시. 실제 수치는 보건복지부·통계청·HIRA 등 공식통계를 참조할 것.

부동산 투자 관점에서의 활용

인구–의원 비율은 주거용·상업용 부동산 투자 판단 시 상권의 의료 서비스 수요와 공급 균형을 파악하는 참고지표로 활용된다.

주거용 부동산

의료 인프라는 노년층·가족단위 거주자들의 주요 편의요인이다. 예를 들어 10,000명당 의원 수가 높아 의원이 많은 동네는 거주민이 쉽게 진료받을 수 있는 생활밀착형 상권을 형성해 주거 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반면 10,000명당 의원 수가 과도하게 낮은 지역(의원 부족 지역)은 고령화가 진행될 경우 의료 접근성 악화로 주거 매력이 떨어질 수 있다. 투자자는 인구 규모 대비 의료 수요가 과도하게 높아 보이는 지역을 성장 잠재력이 큰 상권으로 간주하여 주목할 수 있다. 즉 인구 대비 의원 비율을 노인인구 비중, 출산율 등 인구구성과 함께 고려하면 고령층이 많은 지역의 내과·가정의학과 등 의원 개설 가능성과 주민 만족도 상승을 예측할 수 있다.

상업용 부동산

의원이 밀집한 지역은 환자가 상시 유입되어 낮시간대 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의원·약국 상권은 병의원 방문 수요가 뒷받침되는 만큼 부동산 가치가 비교적 안정적인 편이다. 그러나 과포화 상태에서는 의원 간 환자 확보 경쟁이 심해 신규 임대 수요가 줄고, 의원별 매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즉, 인구 대비 의원 수가 지나치게 많아 임상 수요를 충족시킬 여력이 넘치는 지역은 오히려 상가 공실률과 임대료 하락 압력이 높아진다. 투자자는 상업용 부동산을 평가할 때 의원 공급 포화도와 인구증가율, 근무시간대 교통 유동인구 등을 종합 검토해야 한다.

의원 과포화 및 인구 불균형의 영향

의원 수가 포화된 지역에서는 상권 경쟁이 매우 치열해진다. 신규 개원 의사는 환자 유치 경쟁에서 밀릴 경우 폐업률이 상승하며, 이로 인해 의원 사무실·상가의 공실률도 높아진다. 실제 일부 조사에 따르면 2020년대 초 서울 강남 등 밀집지역의 신규 의원 중 상당수가 개원 1~2년 내 폐업하는 등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다. 반면 의사가 부족한 농촌·오지에서는 응급상황 등 의료접근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의료접근성 낮은 지역의 의원 폐업률 증가). 인구 대비 의원 비율 격차는 교통망, 소득 수준, 고령인구 분포 등과 복합 연관되어, 상권의 충격 및 기회 요인이 된다. OECD도 한국의 도시-지방 간 의료 자원 편차를 지적한 바 있어, 투자자는 해당 지표를 인구구성·지역경제 여건과 함께 해석할 필요가 있다.

진료과목별 의원 분포

주요 진료과목별로도 분포 특성이 다르다. 일반 내과, 가정의학과 등 만성질환·고령환자 진료과목은 전국 대부분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반면 소아청소년과는 젊은 가족과 유아 인구가 많은 지역에, 정형외과·재활의학과는 노인 인구 비중이 높은 지역에 상대적으로 많다. 또한 강남구 등 소득수준이 높고 피부미용 수요가 많은 상권에는 피부과·성형외과 의원이 다수 몰려 있는 등, 의료 소비 패턴에 따라 지역별 의원 구성에도 차이가 크다. 이러한 진료과목별 분포는 부동산 투자 시 인구 특성(예: 출산율, 연령구조)과 결합하면 상권 수요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지역별 사례 분석

서울 강남구

의료기관 밀집도가 전국 최고 수준이다. 강남구는 의원 수가 수천 개에 이르고, 인구 10만명당 의원 수가 서울 평균을 훨씬 웃돌아(통계상 8~9개 수준) 과밀 상태이다.
이에 의원 간 경쟁이 극심해 신설 수요는 제한적이며, 공실률 상승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의료·미용 수요가 높은 고소득 상권 특성도 있어, 일반 상가보다는 의료시설 입점 상권으로서 가치가 높다.
한편 강남은 고령인구 비중도 늘어 요양·재활 분야 의원 수요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수도권 주요 도시

경기 수원·성남·고양 등 대도시에도 의원 밀집지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도시의 인구 대비 의원 수는 서울보다는 다소 낮지만, 꾸준한 인구 유입과 주거지 확장으로 의료 수요가 양호하다.
예를 들어 수원시는 개발제한구역 해제와 신도시 개발로 인구가 늘며 의원 수요가 증가했고, 단기적으로는 의료서비스 공급 부족 현상도 관찰된다. 수도권 투자자는 신도시 개발계획, 교통망 확충과 함께 인구–의원 비율 변화를 주시해야 한다.

지방 광역시 및 주요 거점

부산·대구·광주·대전 등 광역시의 인구대비 의원수는 대략 인구 1만명당 6~7개 수준이다. 서울보다 낮지만 지방도시 대비로는 높은 편이다.
지방 중소도시(예: 전주·청주·창원 등)도 인근 의료센터 역할을 하며 의원과 병원이 분포한다. 반면 농어촌 지역에서는 인구 1만명당 의원수가 급격히 떨어져 의료취약지역이 존재한다. 이런 불균형은 지역 개발·복지 정책과 연결되므로, 지방 부동산 투자 시에도 보건의료 인프라 변화 추이를 고려해야 한다.

결론 및 시사점

인구 대비 의원 수 비율은 상권의 의료수요와 공급상태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지표다. 주거용 부동산 투자자는 의료 접근성(노인·가족 적합도 등)을, 상업용 투자자는 상권의 일일 유동인구와 임대수요 예측을 위해 이 지표를 참고할 수 있다.
특히 과밀상권에서는 높은 경쟁과 그에 따른 공실 위험을, 의료취약지역에서는 향후 의원 개설 기회와 서비스 부족 리스크를 함께 검토해야 한다. 다양한 부동산 투자전략 수립 시에는 인구–의원 비율을 인구 특성, 소득수준, 교통여건 등과 함께 분석함으로써 입지 선정과 리스크 관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인구–의원 비율은 전국 단위 통계와 지역 사례를 종합적으로 검토할 때 유용한 상권분석 지표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정책적으로도 의료 자원의 지역 격차 완화 노력이 강조된다.
Search
날짜
이름
NOT EMPTY4
공인중개사사무소 만상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114, 1006호(서초동, 서초 S.R Tower) 대표: 한영실 상담 모바일: 010-6233-8074
엘토스 부동산 건축 컨설팅 주소: 강남구 테헤란로 145 대표: 장지훈 상담 모바일: 010-5772-6000
대표 번호: 02-529-8040 / 이메일: /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