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프러스9 ㅣ 비온후풍경

“자금조달계획서 그렇게 쓰면 100% 세무조사 받습니다” 아파트 살때 세무조사 안 받는 방법과 세무조사 대응하는 방법을 국세청 출신 세무사가 알려드립니다

자금조달계획서 작성 및 자금출처조사 대응 전략

(출처: 유튜브 '절세는 임수정 세무사', 임수정 세무사 (국세청 출신), 게시일 미상)

목차

개요

부동산 취득 시 작성하는 자금조달계획서가 부정확하거나 소홀할 경우, 자금출처조사 대상으로 선정될 가능성이 크다. 임수정 세무사는 국세청 출신으로, 자금출처조사 선정 기준과 대응법을 구체적 사례와 함께 제시한다.

자금출처조사의 개념과 위험성

자금출처조사는 부동산 취득 등 고액 자산을 구입할 때 그 자금의 출처를 소득세·증여세 신고 여부를 기준으로 검증하는 과정이다.
조사에서 탈루나 무신고가 발견될 경우, 가산세 부담이 크다.
무신고 가산세: 20%
과소신고 가산세: 10%
납부지연 가산세: 일일 0.022% (연 8% 수준), 장기간 누적되면 본세의 2배 이상도 가능.

세무조사 대상 선정 기준

조사 대상 선정은 크게 두 가지 경로로 이루어진다.
1.
자금조달계획서 기반 선정
거래가액 6억 원 이상 주택, 법인 주택 취득, 조정대상지역 내 모든 주택 대상 제출 의무
단, 자금조달계획서 미제출 대상(예: 경매 등)이라도 조사 대상에서 제외되지 않음.
2.
PCI 시스템(소득지출분석시스템)
신고된 소득 대비 자산 취득액이 과다할 경우, 자동으로 분석하여 선정.
6억 원 미만, 경매 취득이라도 소득과 자금 흐름 불투명 시 조사 대상 가능.

대표적 조사 사례 분석

사례 유형
주요 문제점 및 결과
부동산 명의신탁
타인 명의로 부동산을 취득하여 양도차익을 얻고 이를 다른 자산 취득에 사용하다 발각됨.
상속 시 명의신탁
피상속인이 동생 명의로 자산을 관리하다 상속세 조사로 적발됨.
자녀명의 자금 혼재
자녀에게 증여한 임대소득 자금을 별도 관리하지 않아 법인의 자금과 혼용되어 증여세 부과됨.

자금출처조사 대응 방법

조사 착수 전 대응 (예방)

평소 정확한 소득 신고 및 명확한 자금 관리가 필수.
소득 대비 과도한 자산 취득 지양.
부족 자금은 금융기관 대출 활용 우선; 가족 간 차용증 작성 시 소득증빙 필수.

조사 통지 후 대응 (사후 대처)

통지서 수령 즉시, 조사기간과 조사범위를 확인하고 증빙자료 준비.
자금 부족액 범위를 최대한 축소하여 소명.
세무 대리인의 조력을 받아 전략적으로 대응 (조사 기간 단축과 범위 축소 목표).

세무조사 예방을 위한 관리 팁

소득신고 성실화: 신고된 소득이 자금 원천임을 국세청 시스템이 인정.
명의신탁 금지: 본인 명의의 재산만 운용.
명확한 자금흐름 관리: 자녀 증여 등은 전용계좌로 관리, 돈의 '꼬리표' 명확히 유지.

결론 및 핵심 권장 사항

자금출처조사를 방지하려면 사전에 세무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며, 조사 대상이 되었을 경우 전문적 대응이 필수적이다.

핵심 권장 사항:

평소 소득신고 투명화.
자금출처를 명확히 하여 금융거래 관리.
전문 세무사를 통한 전략적 소명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