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프러스9 ㅣ 비온후풍경

부동산 집값 폭락만 기다린다? 하락론자 오해 싹 다 풀겠습니다! 이광수 대표 풀버전 I 집땅지성 I 광수네복덕방, 김인만

부동산 집값 하락론, 진짜인가 오해인가?

이광수 대표 출연 내용 분석 보고서 -

항목
내용
출연자
이광수 대표 (광수네 복덕방), 김인만
매체
유튜브 채널 [집땅지성]
날짜
2025년 상반기 업로드

Ⅰ. 개요

최근 서울 및 전국 부동산 시장은 2025년 초 급격한 상승 후 다시 거래량이 감소하며 가격 안정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 하락론자로 분류되는 이광수 대표는 이번 상승은 단기적이고, 장기적 추세는 여전히 하락세라고 평가함. 지역별 양극화 현상 및 정책적 요소가 시장 왜곡을 심화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이 하락의 가능성을 더 높일 것이라고 전망함.

Ⅱ. 주요 내용 분석

1. 최근 서울 집값 상승세에 대한 평가

2025년 2~3월 서울 집값 급등은 일시적이고, 추세 전환이 아닌 단기 현상임.
최근 몇 년 간 반복되는 일시적 급등→급락 현상이 서울 시장의 불안정성을 나타냄.

2. 지역 양극화 원인 분석

강남 및 일부 지역의 집값 상승은 정책적 수혜(정책대출 확대, 재건축 규제 완화)에 따른 결과임.
노원구 등 일부 지역은 공급 증가로 오히려 가격 상승세가 제한됨.

3. 세종시 등 지방 시장 회복 가능성

세종시는 충분한 가격 조정 이후 거래량 증가를 동반하며 회복 중이며, 대통령 집무실 이전 호재와 관계없이 이미 거래량 회복이 나타난 지역임.
지방 시장도 가격 하락 폭이 큰 지역부터 점진적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높음 (예: 부산).

4. 향후 서울 시장 전망과 투자 전략

서울 시장의 장기적 추세는 하락으로 전환될 가능성 높음.
향후 시장 하락의 주요 트리거(trigger)는 매도 물량 증가이며, 가격 급등 지역(강남 등)이 먼저 조정될 가능성이 큼.
매수 타이밍 판단 핵심 지표:
가격이 충분히 하락할 것
거래량 증가가 4~5개월 이상 지속될 것
가격은 급등하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것

5. 정책적 개입에 대한 평가

정부의 대출정책 등 시장 개입이 부동산 가격의 자연스러운 수요·공급 메커니즘을 왜곡하여 오히려 과잉 및 불안정성을 키우고 있다고 평가함.
시장이 자연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정책적 개입은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함.

6. 부동산 투자에 대한 본질적 시각 전환

부동산을 투자로 명확히 인식하면 오히려 시장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주장.
투자 시 기회비용을 고려하여 적절한 매도 시점을 고민하는 것이 중요함.

Ⅲ. 결론 및 실무적 제언

서울 아파트 시장: 장기 하락세 가능성 고려, 단기 급등 현상에 현혹되지 말고, 거래량·가격 안정성 확인 후 접근.
지방 시장: 충분한 가격 조정을 거친 일부 지역(세종, 부산 등)의 투자 가치 주목.
정책적 관점: 정부 개입 최소화, 시장의 자정작용 존중 필요.
투자 관점: 부동산을 투자 자산으로 냉정히 판단, 매도 전략 및 기회비용을 반드시 고려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