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프러스9 ㅣ 비온후풍경

직접 보고 온 미국 경제, 생각보다 심각했습니다 [이선엽 이사 2부]

1. 미국 현지 체감 경제 상황

물가 상승 체감 심각
이전 대비 생활비 두 배 상승으로 실질적인 소비 위축 발생
트럼프 지지층의 실망감 증가(지지율 하락 요인)
소비재 가격 상승 및 공급 부족 우려 심화
고용 불안정 증가
미국 특유의 노동시장 유연성으로 즉각적인 해고 증가
서민층 타격 심화 ("서민을 위한다는 정책이 오히려 서민에게 피해")

2. 인플레이션 및 소비자 체감 영향

즉각적 영향 vs. 시차 발생 품목
신선식품: 즉각적인 가격 급등 우려(5월 말 이후 심화 가능성)
공산품: 기업의 사전 재고 확보(1분기 선금 지급 등)로 단기적 영향 제한적이나, 재고 소진 후 가격 상승 예상
미국 제조업 현실
공산품 중 미국 내 제조 가능성 낮음 (의복 제조 비율 2%, 군복 등 특수 목적만 생산)
트럼프 정부의 '미국 내 제조업 활성화' 목표 달성 가능성 낮음
생필품 관세 완화 가능성 존재 (베트남 등 협상국과 일부 품목 완화 예상)

3. 제조업 리쇼어링 가능성 분석

제조업 리쇼어링 제한적
나이키 등 노동집약 산업 미국 내 생산 현실성 낮음
일부 첨단산업(자동차, 반도체 등)과 자동화 가능 제조업만 선택적 리쇼어링 가능
현대차 등 자동차 제조업의 미국 공장 사례: 높은 자동화로 비용 효율성 달성 가능
기업들의 전략적 리쇼어링 움직임 예상
미중 갈등과 공급망 안정성 측면에서 일부 기업 전략적 미국 진출 가능성

4. 트럼프 정책의 효과와 한계

단기적 부정적 영향 확대
높은 관세 정책이 소비자 물가 인상 초래
고용 불안정과 생활비 증가로 서민 및 중산층 타격 가중
중장기 정책 효과 제한적
미국 내 제조업 대규모 복귀는 현실적 한계 존재
소수 기업 사례를 정치적으로 활용(포장)할 가능성 높음
에너지 산업 및 인프라 투자를 통한 고용 창출 가능성
일부 육체 노동 일자리 창출 가능 (에너지 패권 전략 연계)

5. 미국 증시 향방 및 경제정책 전망

금리 인하 가능성 존재
파월 의장, 높은 관세가 금리 인하 지연의 핵심 원인임을 시사
하반기 1~3회 정도 금리 인하 가능성 언급
하반기 주식시장 긍정 요인 분석
감세정책: 소비 확대 여지
규제 완화: 신성장 산업(자율주행 등) 투자 활성화
관세 완화: 불확실성 감소로 투자 재개 가능성
최악의 경기침체 가능성 제한적
트럼프 정부 정책 전환 가능성 높음(과격 정책 지속 어려움)
미국 경제의 완전한 침체보다는 단기적 조정 가능성 높음

6. 결론 및 전략적 시사점

트럼프 정부 정책의 단기적 혼란과 장기적 정책 전환 가능성 높음
제조업 리쇼어링은 선택적이며 전면적 재편 불가능
하반기 증시 회복 가능성 존재
감세, 규제 완화, 선택적 관세 완화, 제한적 금리 인하가 시장 회복 요인으로 작용
기업 전략 측면
자동화 기술을 보유한 첨단산업의 미국 진출 전략적 접근 필요
동남아 생산 거점을 전략적으로 다각화(친미 국가 중심 재편 필요)

주의사항 및 리스크

트럼프 정부의 정책 변동성이 여전히 시장 불확실성 요인
고물가 지속 가능성 및 서민 소비 위축 장기화 가능성 존재
금리 인하 기대 과도 시 증시 변동성 확대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