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프러스9 ㅣ 비온후풍경

⭐"집 사고 팔기 전 이 영상 꼭 보세요" 부동산 세법, 절세 꿀팁 총정리 (지병근 세무사 풀버전)

[2025 부동산 세금 완전 정리] 집 사고팔기 전 꼭 알아야 할 세법 & 절세 전략 (지병근 세무사 강의 정리)

2025년 부동산 취득·보유·양도 전 세금 전략 한눈에 보기
주택수·지역 따라 달라지는 취득세/종부세/양도세 핵심 요약
상생임대주택·인구감소지역 투자 등 최신 절세법 총정리

목차

1.
취득세 절세 전략
2.
보유세(재산세·종부세) 핵심 개정
3.
1세대 1주택자 양도세 비과세 요건
4.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유예 연장
5.
2025 세법 개정 이슈 요약
6.
주택임대사업자 절세 혜택
7.
상생임대주택 혜택 완전정리
8.
인구감소지역 & 지방 미분양주택 세금 혜택

<a name="1"></a> 1. 주택 취득세, 주택수와 지역에 따라 다르다

기본 세율:
6억 이하 → 1%
6억~9억 → 1.01%~2.99%
9억 초과 → 3%
중과 세율:
2주택(조정지역) → 8%
법인 구매 시 무조건 12% 적용
현재 조정대상지역은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 용산구만 해당

<a name="2"></a> 2. 2025 종합부동산세 부담 완화

2023년 개정 이후 큰 변화 없음
과세표준 12억 원 이하 → 기본 세율 적용
다주택자도 공시가격 합계 29억 원 이하(시가 약 40억)에 해당 시 부담 미미
사례: 공시가 총합 15억 → 종부세 약 170만 원 (과거 1,000만 원 대비 80%↓)

<a name="3"></a> 3.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요건
기준
보유 요건
2년 이상 보유 (전국 동일 적용)
거주 요건
취득일 기준 조정지역만 해당
양도 가액 요건
12억 원 이하 전액 비과세
초과 시
12억 초과분만 과세
주의: 양도일이 아닌 취득일 기준 조정지역 여부로 거주요건 판정

<a name="4"></a> 4. 다주택자 중과세 유예, 2026년 5월 9일까지 연장

조정대상지역 소재 다주택자 매도 시
기본세율 적용
장특공제 적용 가능
최대 30%p 이상 세금 절감 효과

<a name="5"></a> 5. 2025년 주요 세법 개정 요약

항목
내용
상가 용도변경 특례
매매계약일 기준 비과세 판정 가능 (2025.2.28 이후 계약)
혼인·동거봉양 합가
합가일 당시 각각 1채 보유 시에만 비과세 적용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
적용 횟수 1회 → 무제한 반복 가능

<a name="6"></a> 6. 주택임대사업자 세금 혜택 요약

항목
개정 전
개정 후 (2025)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
1회 제한
반복 허용
단기 임대주택
폐지
6년형으로 부활 (2025.6.4 시행)
자동말소 여부
일부 가능
신설 6년형은 자동말소 불가

<a name="7"></a> 7. 상생임대주택: 2025 최고의 절세 전략

혜택 구분
상세 내용
거주 요건 면제
거주 안 해도 2년 임대 시 거주한 것으로 간주
장기보유특별공제
보유+거주 기간 각각 4%씩 최대 80% 공제
비과세 특례
마지막 1채 남기고 양도 시 비과세 적용 가능
증빙 방법
임대차 계약서 (직전 + 상생 계약서)로 가능
지방자치단체·세무서 등록 없이도 가능, 갭투자자 절세 필수 전략

<a name="8"></a> 8. 지방 인구감소·미분양 주택 투자자 절세 팁

인구감소지역 주택 혜택 (2026년까지)

취득 가액 4억 이하
종부세: 1세대 1주택자 기준 공제(12억) + 세액공제
양도세: 인구감소지역 주택은 주택 수에 미포함

지방 미분양주택 특례 (2024년 말까지)

6억 이하, 85㎡ 이하
주택 수 제한 없이 비과세 인정
지자체 미분양 확인서 필수 제출

결론 및 실전 팁

상생임대주택 요건 반드시 점검: 5% 인상 제한만 지키면 절세 끝
보유 순서·매도 순서·거주 여부만으로도 세금 수천만 원 차이
세무사 상담 & 전략적 주택 매도 계획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