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Executive Summary)
•
미국 LNG는 2024년 수출 11.9 Bcf/d로 세계 1위, 2026년까지 +36%(+4.3 Bcf/d) 증대를 EIA가 전망. 증설 램프업은 **Corpus Christi Stage 3·Plaquemines·Golden Pass(지연 후 재가동), Port Arthur Ph1, Rio Grande(Tr4·5)**가 주도. (EIA)
•
정책/허가 정상화: 2024년 ‘일시중단’ 논란 이후 DOE가 2025-05에 LNG 수출 공익성 재확인·대기 건 심사 재개, 8월 Commonwealth LNG 최종 수출허가·CP2/Calcasieu Pass 관련 추가 승인 등 파이프라인 재가동. (The Department of Energy's Energy.gov)
•
환경규제 변화: IRA의 메탄배출금(Waste Emissions Charge) 은 2025-03-14 CRA로 무효화, 다만 메탄 기준(OOOOb/OOOOc)·감시 프로그램은 법원 공방 중이라 준수체계는 유지 필요. (Federal Register)
•
수요·오프테이크(Offtake): 유럽/아시아의 장기계약 복귀 조짐—EU의 美 LNG 장기계약 확대 기대(Exxon), JERA-Sempra·NextDecade 다년계약, TotalEnergies-KOGAS 10년 계약 등. (Reuters)
•
목차
1.
정책·규제(허가·환경)
2.
공급망/인프라(가스전→파이프→액화→선박)
3.
주요 프로젝트 진행도·주도 기업
4.
가격/수급·오프테이크 동향
5.
2026~2030 전망 & 리스크
6.
결론: 실행 가능한 액션 플랜
7.
FAQ
8.
부록: CSV/SQL
1) 정책·규제(허가·환경)
•
DOE LNG 수출정책 재가동(2025-05): 2024 LNG Export Study에 대한 최종 코멘트 답변을 내고 비(非)FTA 수출허가 처리를 정상화. 이후 Venture Global(추가 수출/CP2), Commonwealth LNG(최종 비FTA 허가) 등 일련의 결정을 신속 집행. (The Department of Energy's Energy.gov)
•
•
메탄 규제: WEC(메탄부담금) 규칙은 CRA로 무효(2025-03-14 서명)되었지만, 메탄 표준(OOOOb/OOOOc) 관련 일정 조정·소송이 진행 중. → LDAR·슈퍼이미터 대응체계는 계속 필요. (Federal Register)
2) 공급망/인프라(가스전→파이프→액화→선박)
•
Upstream & 파이프라인: 헤인즈빌/퍼미안 가스가 LEAP(루이지애나) 1.9→2.1 Bcf/d 증설, GCX(걸프 코스트 익스프레스) +0.57 Bcf/d(2026-mid 가동) 등으로 LNG 터미널 인수(feedgas) 안정성 제고. (EIA)
•
Liquefaction(액화): 상온→-162℃ 과정에서 에너지 자체소모 7~15%—고효율 설계·디보틀넥(de-bottleneck)·전동구동(e-drive) 채택 확산. (일반 산업 지식)
•
Shipping(선복): 2025~28 대규모 신규선 인도 예정(한국 빅3 중심), 미 걸프코스트-대서양 루트 최적화가 JKM/TTF-HH 스프레드 수익성에 핵심.
3) 주요 프로젝트 진행도·주도 기업(2025-09-13 기준)
프로젝트(주도) | 주(州) | 설비/용량(Mtpa) | 2025 진행상태 | 다음 마일스톤(가늠) | 주요 오프테이크/특이사항 |
Corpus Christi Stage 3 (Cheniere) | TX | +~10 (완성 시 25+ 총) | Tr1 실질완공(3월), Tr2 첫 LNG(6월) | 2026 내 7개 미드스케일 트레인 순차 램프 | |
Plaquemines (Venture Global) | LA | 24→27.2(상향 승인) | 2024-12 첫 LNG, 2025 커미셔닝 램프 | 2026~27 장기계약 이행 개시 | |
CP2 LNG (Venture Global) | LA | Ph1 ~20+(계획) | DOE 조건부→최종 승인 준비, FERC 리뷰 완료 | 현장작업·본공사 속도 | |
Golden Pass (Exxon/QatarEnergy) | TX | ~18 | EPC 변경(Chiyoda 등)·지연→재가속 | Tr1 2025 말 1st LNG 기대 | |
Port Arthur Ph1 (Sempra/Conoco) | TX | ~13(2기) | 건설 중, CO: 2027/2028 | Ph2 상업화·SPA 확장 | |
Rio Grande (NextDecade) | TX | Ph1~3 진행, Tr4 FID·Tr5 상업화 임박 | Tr4 FID·TTE 10%·Tr5 4.5 mtpa 판매 | Tr5 FID(Q4 가시권) | |
Commonwealth LNG | LA | ~9.3 | DOE 최종 비FTA 수출허가(8/29), FERC 승인 유지 | 2025 FID 목표, 2029 1st LNG | |
Lake Charles LNG (Energy Transfer) | LA | ~16.5 | DOE 수출개시기한 연장(8/22) | 상업화 파트너 확보·FID | |
Delfin FLNG(해상) | LA(연안) | 3.5/모듈형 | MARAD 심해항 라이선스 획득(3/21) | 2026+ 해상 모듈 투입 | |
Cameron Expansion (Sempra 등) | LA | +6.75(개선안) | 개발·허가 트랙 지속 | FID 미정 |
운영 이슈: Freeport LNG는 2025-03 번개사고·05 전력 문제 등 빈번한 셧다운/재가동—미국 주간 수출·피드가스 변동성의 주원인. (Reuters)
4) 가격/수급·오프테이크 동향
•
•
오프테이크: JERA-Sempra(Ph2) 1.5 mtpa/20년, Conoco-NextDecade(Tr5) 1 mtpa/20년, EU의 장기 美LNG 계약 확대 기대(Exxon). (Reuters)
•
글로벌 수요: Shell LNG Outlook 2025—2040년 LNG 수요 +60% 시나리오. IEA Gas Market Q3-2025—2026년 아시아 LNG +10% 반등 전망. (Shell)
5) 2026~2030 전망 & 리스크
•
•
핵심 리스크
1.
2.
3.
4.
스프레드: JKM/TTF-Henry Hub 스프레드 축소·운임 상승 시 수익성 민감.
6) 결론: 실행 가능한 액션 플랜
A. 오프테이크/트레이딩(수요자·유통사)
•
FOB 장기계약 + 스윙 옵션: 2026~28 본격 램프업 물량(Cheniere CCL, Sempra Port Arthur, NextDecade RGLNG, VG Plaquemines/CP2)을 분산 바스켓으로 체결. 허리케인/정전 BCP 조항·덤핑/커미셔닝 스팟 활용. (Reuters)
B. 공급망/설비(기자재·EPC)
•
모듈러·전동구동(e-drive)·디보틀넥 수요 증가—국내 보냉재/밸브/모듈러 EPC와 미 걸프 프로젝트 RFP 매칭(Port Arthur Ph2·CP2·Commonwealth). 현지화 비중·IRA Buy America 검토. (Sempra)
C. 리스크/헤지
•
D. 인프라 연계(가스조달)
•
7) FAQ
Q1. “과잉공급” 우려는?
Q2. 가장 가시성 높은 신규 증설은?
A. Cheniere(Corpus Stage 3, Midscale 8·9), Sempra(Port Arthur Ph1→Ph2), NextDecade(Rio Grande Tr4·5), Venture Global(Plaquemines 상향, CP2 진행). (Reuters)
Q3. Golden Pass는 언제?
출처(핵심, 발췌)
•
•
DOE/FERC: 수출허가 정상화(5월), CP2·Calcasieu Pass 추가 수출·Commonwealth 최종 허가(8/29). (The Department of Energy's Energy.gov)
•
•
•
프로젝트/기업: Cheniere CCL Stg3/Tr8·9, Venture Global Plaquemines 상향/CP2, Golden Pass EPC 교체 후 재가속, Sempra Port Arthur(Ph1/Ph2 SPA), NextDecade RGLNG(Tr4 FID·Tr5 상업화). (Cheniere Energy, Inc.)
•
원하시면 위 CSV 스키마로 국내 상장사(조선·밸브·보냉·모듈러EPC)–미국 프로젝트 RFP 매칭 보드까지 바로 붙여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