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ER (주가수익비율, Price/Earnings Ratio)
•
정의: 주가가 기업의 이익 대비 몇 배 수준인지 나타내는 지표
•
공식:
◦
PER = 주가 / EPS
◦
PER =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TTM, 지배주주 기준)
•
의미: 이익 1원을 시장이 얼마에 평가하는가 → 성장성·금리 기대가 높을수록 PER ↑
•
활용: 성장주·가치주 비교, 시장 평균 대비 고평가/저평가 판단
2. PBR (주가순자산비율, Price/Book Ratio)
•
정의: 주가가 순자산(장부가치) 대비 몇 배인지 나타내는 지표
•
공식:
◦
PBR = 주가 / 주당순자산(BVPS)
◦
PBR = 시가총액 / 자기자본(지배주주지분)
•
의미: 장부가치 1원을 시장이 얼마에 평가하는가 → ROE 높을수록 PBR ↑
•
활용: 은행·보험 등 자본 기반 업종 분석, 청산가치·자산가치 평가
3. ROE (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
정의: 주주가 투자한 돈(자기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으로 창출했는가
•
공식:
◦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보통 TTM(최근 4분기 합산) 기준 사용
•
의미: ROE ↑ → 수익성·경영 효율성 ↑ → 높은 PBR·PER 정당화 가능
•
활용: 기업의 본질적 수익성 파악, 정당화 PBR/멀티플 계산의 핵심 지표
4. EPS (주당순이익, Earnings Per Share)
•
정의: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발행주식 수로 나눈 값
•
공식:
◦
EPS =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수(희석 기준)
•
의미: 주당 이익 수준을 나타내는 기본 단위, PER 산출의 분모
•
활용: 배당 여력·주당 실적 추세·기업 가치평가 기본 지표
5. BVPS (Book Value Per Share, 주당순자산)
•
정의: 기업의 순자산(자기자본)을 주식 수로 나눈 값
•
공식:
◦
BVPS = 자기자본 ÷ 유통주식수
•
의미: 1주당 장부가치로 얼마만큼 뒷받침되는가
•
활용: PBR 계산의 분모, 자산 기반 기업의 저평가/고평가 분석
6. 당기순이익(TTM, Trailing Twelve Months)
•
정의: 최근 4개 분기(12개월) 동안 기록한 지배주주 순이익의 합계
•
공식:
◦
당기순이익(TTM) = 최근 4분기 지배주주 순이익 합계
•
의미: 계절성·일회성 왜곡을 줄여, 최근 1년 실적을 객관적으로 보여줌
•
활용: PER 분모(EPS 산출), ROE 계산, 연속적 실적 추세 분석
관계 요약
•
EPS = 당기순이익 ÷ 주식수
•
BVPS = 자기자본 ÷ 주식수
•
PER = 주가 ÷ EPS
•
PBR = 주가 ÷ BVPS
•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PER·PBR은 EPS·BVPS에서 출발하고, ROE는 PER·PBR 정당화의 핵심
파현 선생님, 원하시면 제가 위 개념들을 **시각적 매트릭스(도식)**로 만들어 PER·PBR·ROE·EPS·BVPS가 서로 어떻게 연결되는지 한눈에 보이게 도식화해 드릴까요?
핵심 정리
1. PER (주가수익비율, Price/Earnings Ratio)
•
정의: 주가가 이익의 몇 배인지 보여주는 지표
•
공식:
◦
PER = 주가 / EPS
◦
PER =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TTM, 지배주주 기준)
•
의미: 이익 1원을 얼마에 사는지 → 성장성·금리 기대 높을수록 PER ↑
2. PBR (주가순자산비율, Price/Book Ratio)
•
정의: 주가가 장부가치(순자산)의 몇 배인지 보여주는 지표
•
공식:
◦
PBR = 주가 / 주당순자산(BVPS)
◦
PBR = 시가총액 / 자기자본(지배주주지분)
•
의미: 장부가치 1원을 얼마에 사는지 → ROE 높을수록 PBR ↑
3. ROE (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
정의: 주주가 투자한 돈(자기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으로 불려내는가
•
공식:
◦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보통 TTM(최근 4분기 합산) 기준 사용
•
의미: ROE ↑ = 수익성·경영 효율성 ↑ → 높은 PBR·PER 정당화
•
관계: 장기적으로 **ROE > 요구수익률(r)**이면 기업가치 상승 가능
4. EPS (주당순이익, Earnings Per Share)
•
정의: 1주당 벌어들인 이익
•
공식:
◦
EPS =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수(희석주식수 기준)
•
의미: PER 계산의 분모, 배당 여력·기업 가치평가의 기본 단위
1. BVPS (Book Value Per Share, 주당순자산)
•
정의: 기업이 보유한 순자산(자기자본)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
공식:
◦
BVPS = 자기자본(Equity) ÷ 유통주식수
•
의미: 1주가 장부가치(회계상 자산 가치)로 얼마만큼 뒷받침되는지 보여주는 지표
•
활용: PBR(주가순자산비율)의 분모로 사용
2. 당기순이익(TTM, Trailing Twelve Months)
•
정의: 최근 4개 분기(12개월) 동안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의 합
•
공식:
◦
당기순이익(TTM) = 최근 4분기 지배주주 순이익 합계
•
의미: 계절성·일시적 요인을 줄이고 기업의 최근 1년 실적 흐름을 보여줌
•
활용: PER 계산의 분모(EPS 산출 근거), ROE 계산 시 순이익 지표로 활용
3. 주당순자산(BVPS, Book Value Per Share)
(BVPS와 동일 용어)
•
정의: 자기자본을 주식수로 나눈 값
•
차이 포인트:
◦
BVPS는 보통 기말 자기자본 ÷ 발행주식수
◦
주당순자산도 같은 개념이나, 실무에서는 **자기자본(지배주주지분 기준)**을 사용해야 정확
BVPS
당기순이익(TTM
주당순자산(BVPS)
관계 구조
•
PER = 주가 / EPS
•
PBR = PER × ROE (정리식: PBR = (주가/EPS) × (EPS/BVPS))
•
ROE는 PER·PBR의 “정당성”을 설명하는 핵심 지표
•
EPS = “한 주가 번 돈”
•
PER = “이익의 몇 배에 주가가 거래되는가”
•
PBR = “순자산의 몇 배에 주가가 거래되는가”
•
ROE = “주주 돈 100원을 몇 % 이익으로 만드는가”
요약
•
PER(주가수익비율, Price/Earnings): 주가가 이익의 몇 배인지.
◦
주가 기준: PER = 주가 / EPS
◦
전체 기준: PER = 시가총액 / (지배주주지분 당기순이익, TTM)
◦
의미: 이익 1원을 얼마에 사는가. 성장·질·금리 기대가 높을수록 PER↑.
•
PBR(주가순자산비율, Price/Book): 주가가 순자산의 몇 배인지.
◦
주가 기준: PBR = 주가 / BVPS
◦
전체 기준: PBR = 시가총액 / (지배주주지분, 분기말 또는 연말)
◦
의미: 장부가치 1원을 얼마에 사는가. 수익성(ROE)이 높을수록 PBR↑.
•
ROE(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투자자(주주)가 넣은 돈을 회사가 얼마나 이익으로 불려내는가”를 보여주는 비율.
◦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Equity)
◦
ROE = Net Income(지배주주 순이익) / Equity(기말 자기자본)
◦
ROE↑ → 기업의 수익성·경영 효율성↑ → 시장에서 높은 PBR·PER을 정당화.
◦
장기적으로 **r(요구수익률)**보다 ROE가 높으면 기업가치 상승을 설명할 수 있다.
◦
TTM(최근 4분기 합산) 기준으로 많이 씀.
•
핵심 연결식(정당화 지표, Gordon/Residual 가정)
◦
정당화 PER ≈ (1 - g/ROE) / (r - g)
◦
정당화 PBR ≈ (ROE - g) / (r - g)
(r: 요구수익률, g: 장기성장률, ROE: 자기자본이익률)
→ ROE가 r보다 높고 지속 가능할수록 PER·PBR이 “정상보다” 높게 형성.
목차
1.
정의와 공식(두 방식)
2.
계산·데이터 실무(한국 상장사 기준)
3.
해석 프레임(성장·ROE·금리)
4.
업종별 특성 & 흔한 함정
5.
PER vs PBR: 언제 무엇을 볼까
6.
실무 체크리스트
7.
CSV 컬럼 설계 예시
8.
SQL 예시
1) 정의와 공식(두 방식)
•
PER
◦
주가 기준: PER = 주가 / EPS
◦
전체 기준: PER = 시가총액 / (지배주주지분 당기순이익, TTM)
•
PBR
◦
주가 기준: PBR = 주가 / BVPS
◦
전체 기준: PBR = 시가총액 / (지배주주지분, 분기말 또는 연말)
2) 계산·데이터 실무(한국 상장사 기준)
•
EPS: 희석 주당순이익 사용 권장(전환사채·스톡옵션 반영).
•
순이익: 연결 손익계산서의 지배주주 순이익(TTM).
•
주식수: 가중평균(희석), 자사주는 유통주식수에서 차감.
•
BVPS: 기말 지배주주지분 / 기말 유통주식수.
•
PER Forward/Trailing:
◦
TTM PER(지난 4분기) vs NTM PER(향후 1년 컨센서스).
•
PBR 시점 정렬: 시가총액(평균·기말)과 자본(기말)을 동일 기준일로 맞추기.
3) 해석 프레임(성장·ROE·금리)
•
금리(r)↓ → 요구수익률↓ → 분모 (r - g) 작아져 PER·PBR↑ 경향.
•
성장(g)↑ & ROE↑ → 잉여이익/배당 여력↑ → 멀티플↑.
•
정당화 식을 사용해 “비싸 보이는” 멀티플이 합리적인지 역산 가능.
◦
예) r=9%, g=3%, ROE=12%라면 정당화 PBR ≈ (12-3)/(9-3) = 1.5배.
4) 업종별 특성 & 흔한 함정
•
금융(은행·증권·보험): PBR·ROE 축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많음(자본 레버리지 사업).
•
자산집약(조선·철강·정유·리츠): PBR·EV/EBITDA 선호.
•
무형자산·성장형(소프트웨어·바이오): 회계상 자산이 작아 PBR 왜곡 → PER·PSR·DCF 병행.
•
경기순환 업종: 이익 바닥에서 PER 급등(분모↓) → 저평가 착시 잦음.
•
적자/자본잠식: PER·PBR 의미 약함 (PER은 정의 불가, PBR은 해석 위험).
•
일회성 손익: EPS 왜곡 → 조정이익(Non-GAAP)·정상화 이익 병행 검토.
5) PER vs PBR: 언제 무엇을 볼까
•
PER: 이익이 안정적으로 발생·측정되는 기업(내구소비재, 플랫폼 성숙기 등).
•
PBR: 자본으로 수익을 내는 사업(ROE 중심), 혹은 청산가치·자산가치가 중요한 업종.
•
둘을 함께: PBR ≈ PER × (EPS/BVPS) = PER × ROE →
◦
같은 PER이라도 ROE 높은 회사는 PBR↑(정상).
6) 실무 체크리스트
EPS는 희석 기준인가? 일회성 제거했는가?
순이익·자본은 지배주주 기준인가?
TTM/NTM 구분했는가? 컨센서스 출처 일관성 유지?
ROE·성장률·금리로 정당화 멀티플을 계산해 봤는가?
업종별 적정 구간과 사이클 위치를 함께 봤는가?
자사주·전환증권·우선주·비지배지분 처리 일관성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