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디테일> 처마 깊은 목조주택을 위한 가벼운 목구조 지붕 디테일
<월간 디테일>은 중, 소규모 건축 시장에서 하자 없고 건강하며 쾌적한 건축 공간 및 환경을 구현을 위한 필수적인 디테일과 시공 행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표준화하여 건축 설계 및 시공 현장에 적용하고자 함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습니다.
<월간 디테일>에 소개되는 내용은 ‘비온후풍경 / OGL-Architects’의 <플랫폼 B+ D&C 로제>에서 관리, 운영하는 <표준 공통 상세도> 내용을 선정하여, 해당 디테일과 관련된 각종 요소들의 상호 관계성 등에 대해 보다 포괄적이며 입체적인 관점에서 관련 내용을 다루고자 합니다.
일반적인 설계, 시공에 프로세스는 전체에서 부분이란 일방향성 경향이 강한 편이지만, 공간 및 환경, 품질과 경제성 등 다변화하고 있는 건축에 대한 각종 요구들을 고려할 때 다소 지양되어야 할 방법입니다.
부분과 전체는 서로 다른 것이 아닌 ‘부분의 또 다른 양태’ 또는 ‘전체의 또 다른 양태’일 뿐이며, 디자인 및 시공 과정에서 하나의 대상으로 간주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디테일의 문제는 통상 건축의 기술적 관점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다분하지만, 건축물의 섬세한 분위기, 공학적 품질 등을 갖추기 위한 근간이며, 단편적인 기술의 문제로 치부되는 것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피아노 또는 기악에 대한 기술만으로 쇼팽의 녹턴을 연주하는 것은 불가능 한 것과 유사한 이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세도는 도면 구성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지만 중, 소규모 건축 시장에서 설계자가 합리적이며 실효성 있는 상세도를 작성하기 어려운 경우가 비일비재 합니다. 시공자 역시 도면과 그 이면의 다양한 가치에 대해 깊이 있는 이해가 부족한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월간 디테일>은 이러한 건축 시장에서 ‘체계적인 설계-시공 과정의 총체성’이란 관점에서 관련 내용을 다루고자 합니다.
최초 작성일 2024/12/25
디테일 개요
note
•
경량목구조의 장점 중 하나는 ‘가벼움’에 있다.
•
일례로, 처마 깊은 집을 만들기 위해 구조 검토를 의뢰하면 대체로 공학목재를 활용한 빔과 거더로 해석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하지만, 이는 결과적으로 경량 목구조의 ‘가벼움’의 장점을 활용하지 못한 방법이다.
•
표준 공통상세도 E-FWR 43024667 a1-1 의 내용은 ‘깊은 처마’ (벽체 중심선 기준 약 2,500)를 위해 일반적인 경량목구조 실링 조이스트 부재를 ‘라프터 조이스트(2X12 Rafter Joist @600)’라는 개념으로 전제한 후, 서까래는 라프터 2X10으로 계획 하였다. (2층의 건물의 플로어 조이스트와 유사한 성격)
•
‘라프터 조이스트’로 사용하는 2X12 부재는 통상 L=4,800 치수 임으로 처마 단부에서 Double 2X12 부재로 연장하여 필요한 처마 길이를 확보하고 (상세도 EF-R-MT Sht 67-TRS a1-1 참조) 연장된 부재와 라프터 조이스트를 결구하는 방식으로 처마 길이를 확보.
•
지붕 구조의 메인 주요 구조는 라프터가 아닌 라프터 조이스트 임으로 지붕의 형상은 우진각 지붕 등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형상의 디자인이 가능.
디테일 요약 및 특기사항
▍ 디테일 요약 (구조 협의용)
•
참고 주단면도 기준 단방향 경간은 8,800이며, 릿지보드 하부는 탑 플레이트 + 1,500 임.
•
이 경우 처마 마감선은 벽체 중심선 + 2,519 임.
•
벽체는 EPS+건식 오픈조인트
•
방수층은 벽체는 EPS의 외측, 지붕은 방수시트 및 투습방습지
•
기밀층은 벽체는 WSB내측, 지붕은 라프터 조이스트 하부
E-FWR 43024667 a1-1 참고 주단면도
▍ 디테일 요약 (구조 검토용)
•
위 디자인에 대한 구조 검토는 다음과 같음.
•
‘라프터 조이스트(2X12 Rafter Joist @600)’ → 거더 Triple 2X10 @4,200 & 단부 빔 Triple 2X10, 라프터 2X8 @610)
(** 단열재 취부를 고려하여 거더 Triple 2X12 @4,200, 단부 빔 Triple 2X12 적용)
•
단부 빔에서 서까래 끝 단부는 2X10 구조재 @610 으로 라프터와 결속
요약
•
살펴본 바와 같이 처마 깊은 집을 위한 지붕 계획은 무거운 공학목재를 사용하지 않고, 경량 목구조로 구조 해석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음.
•
라프터 부재가 2X8 인 만큼 지붕의 자유로운 형상에 있어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음.
•
에너지 해석 관점에서 단열층은 라프터 조이스트층이 아닌, 라프터층에 권장 된다는 한국패시브건축협회 의견. (이 부분은 공사비와 관련된 문제로 개별 현장 여건에 따라 개별 판단)
** Note
— 구조 컨설팅: ZESS
— 에너지 컨설팅: 한국패시브건축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