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사업을 이렇게도 할 수 있다니! 브랜드·공장 없이 매출 2조 원 대박 터뜨린 F&F | 대기만성's
1. 한국 패션 사업의 최고 부호, 김창수 회장
•
한국에서 패션 사업으로 가장 큰 부를 쌓은 인물은 김창수 회장.
•
그는 F&F의 창업주로, 현재 재산 약 16억 달러(약 2조 원) 규모.
•
한국 부호 순위 22위에 오를 정도로 성공했지만, 대중들에게는 비교적 덜 알려진 인물.
2. F&F는 공장도, 자체 브랜드도 없다?
•
일반적으로 패션 기업들은 브랜드를 만들거나, 남의 브랜드 제품을 생산하는 OEM 사업을 진행.
•
그러나 F&F는 브랜드도, 공장도 없이 대박을 터뜨림.
•
그 방법은 ‘라이선스 사업’ – 즉, 유명 브랜드의 사용권을 빌려서 패션 상품을 판매하는 방식.
3. F&F의 대표 브랜드: MLB와 디스커버리
•
MLB (Major League Baseball): 야구 리그의 로고를 활용한 패션 브랜드.
•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 다큐멘터리 채널의 이름을 딴 아웃도어 브랜드.
•
이 두 브랜드 모두 원래는 패션 브랜드가 아니었으나, F&F가 이를 패션 브랜드로 재해석하여 성공.
4. F&F의 비즈니스 전략
•
전통적인 패션 라이선스 방식과 달리, 비(非)패션 브랜드를 패션 브랜드로 만들어냄.
•
MLB는 원래 야구 팀 로고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모자, 의류, 신발 등 다양한 패션 아이템으로 확장.
•
디스커버리도 원래 다큐멘터리 채널이었지만, 아웃도어 브랜드로 자리 잡음.
•
특히, 생산을 전혀 하지 않고 기획, 디자인, 마케팅만 담당하는 방식.
•
마치 애플이 직접 제품을 생산하지 않고 폭스콘에 위탁하는 방식과 유사.
5. F&F의 급성장
•
2021년 매출 1조 원 → 2022년 매출 1조 8천억 원 (80% 성장).
•
영업이익도 5,200억 원으로 폭발적인 증가.
•
특히, 코로나 팬데믹으로 다른 패션 브랜드들이 어려움을 겪을 때에도 성장 지속.
6. MLB 브랜드의 중국 진출
•
MLB 브랜드의 매출 비중 70% 차지.
•
중국 시장에서 한국보다 MLB 브랜드가 더 큰 성공.
•
2019년 중국에 첫 매장 오픈 후, 현재 약 840개 매장 보유, 2024년 목표 1,100개 매장.
•
중국에서는 MLB가 미국 브랜드로 인식되어 한한령(중국 내 한류 금지령)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음.
•
같은 제품이라도 중국에서 한국보다 10~30% 더 비싸게 판매하여 높은 수익성 유지.
7. 디스커버리 브랜드의 차별화 전략
•
2012년 한국 시장에 도입, 기존 아웃도어 브랜드들과 차별화.
•
“우리는 히말라야를 가지 않는다”라는 컨셉으로 일상에서 편하게 입을 수 있는 아웃도어 스타일을 강조.
•
공유(배우)를 모델로 기용해 큰 성공.
•
2017년 롱패딩 열풍을 타고 시장 점유율 급상승.
•
현재 국내 아웃도어 브랜드 중 2위 (노스페이스 다음) 위치.
8. 새로운 도전: 자체 브랜드 확보
•
기존 라이선스 브랜드의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자체 브랜드 확보 시도.
•
2018년 이탈리아 패딩 브랜드 ‘듀베티카’ 인수.
•
미국 프리미엄 테니스 브랜드 ‘세르지오 타키니’ 인수.
•
2021년에는 세계 3대 골프 브랜드 중 하나인 **‘테일러메이드’**를 인수.
•
테일러메이드는 골프채 중심 브랜드였지만, 의류·신발 등 패션 아이템 확장 가능성 큼.
9. F&F의 성공 비결
•
김창수 회장은 단순한 패션 사업가가 아니라 브랜드 스토리텔러.
•
MLB, 디스커버리를 단순한 로고가 아닌 패션 브랜드로 만들어낸 점이 핵심.
•
이제는 자체 브랜드를 키워 F&F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중.
결론
•
F&F는 기존 패션 사업의 공식을 깬 혁신적인 전략으로 2조 원 매출을 달성.
•
공장 없이, 브랜드 없이 **‘남의 브랜드를 패션 브랜드화’**하여 성공.
•
향후 테일러메이드와 같은 자체 브랜드 육성을 통해 더욱 성장할 가능성이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