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조주택.. 누구나 아는 사실. 기초의 중요성
집 짓기에서 기초 공사가 중요하다는 사실은 누구나 아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구체적으로 무엇이 중요하다는 뜻일까요?
중요한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중요함에 대한 객관적 사실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지 않을까 합니다.
공통표준상세도/비온후풍경/D(w)-0404 da EF/F-XPS(d) 430a
▍ 이음매, 접합부
건축에서 접합 부위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어떤 관점에서 건축은 수많은 접합부의 연속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목조주택 기초의 중요성 역시 ‘이음매’, ‘접합부’라는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건축가 루이스 칸은 이음매를 건축에서 중요한 요소로 강조했으며, 조인트는 장식이자 건축물에 질서를 부여한다고 하였습니다. 칸의 관점에서 접합부는 재료와 형태가 만나는 접점을 의미합니다.
루이스 칸의 언급은 콘크리트와 같은 단일 재료 속에서 이음매에 대한 사례지만, 목조주택 기초에서 이음매는 목재와 콘크리트라는 이질 재료 접합부라는 관점에서 심층적인 공학적 해석이 수반되어야 하는 대상입니다.
건축가들에게 루이스 칸의 영향력은 지금도 상당하지만, 국내에서 칸의 텍스트는 다분히 교조화되어 있는 사실 또한 부인할 수 없을 것입니다.
또한, 쿠마 켄코의 디자인에서 볼 수 있는 접합부는 루이스 칸이 언급하고 있는 접합부에 대한 생각과 전혀 다른 관점입니다.
** 이미지 출처 / https://kkaa.co.jp/
목조주택 기초가 중요한 이유는 목구조와 철근콘크리트 기초라는 이질 재료로 구성된 시스템간의 연결 부위이기 때문이며, 건축물에서 기초는 건축물과 땅의 이음매, 접합부위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패시브하우스적 관점에서 기초의 접합부는 이러한 구조적 상호관계와 더불어, 기후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온,습도 요소가 건축물에 작용하는 각종 해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에너지 해석/비온후풍경, 한국패시브건축협회
이러한 이론적, 실무적 배경 외에도 목조주택 기초는 평활도 문제가 민감할 수 밖에 없는 시공 특성이 있습니다.
목구조의 시공 오차는 3~5mm 이내인 반면 국내 철근콘크리트 시공 오차는 현실적으로 50mm 이상인 경우도 비일비재 합니다. 다시 말해 시공 오차라는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정밀한 목구조의 수평, 수직 평활도를 위해 기초의 평활도는 중요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목구조가 발달한 일본의 경우 ‘베타 기초’라는 일본 고유의 기초 형식을 고안한 배경에는 기후 환경에 따른 목구조의 시공 특성을 고려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목조주택 기초는 목재와 콘크리트라는 다른 재료, 체계간 이음매, 접합 부위이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또한, 국내 시공 현실을 고려할 때 이질 재료 접합 부위인 목조주택 기초의 평활도는 목조주택을 짓는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 기초의 평활도
목구조의 첫 번째 부재인 토대목의 수평을 위해 현장에선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근래 보편적으로 자리잡고 있는 방법이 기초 타설 후 별도로 수평몰탈(셀프레벨링)작업을 통해 토대 하부에 수평을 잡는 방법입니다.
잘못된 방법이라고 할 수 없지만, 합리적인 방법이라고도 할 수 없지만 국내 현실을 고려하면 최선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수평몰탈 자재 특성에 따라 여름철, 겨울철 온도 변화에 따라 주의가 필요하며, 자재별로 셀프레벨링 높이가 제한되어 있음을 확인해야 합니다. 종종 수평몰탈 상당 부분이 탈락되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수평몰탈 작업을 하더라도 기초의 평활도는 최대한 확보해야 하며, 수평몰탈 시공시 해당 부위 청소와 프라이머 작업을 병행해야 하며, 가급적 고강도 수평몰탈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입니다.
또한, 기초의 평활도를 위해서는 사실 잡석다짐, 버림콘크리트 작업부터 평활도를 의식하고 시공해야 합니다. 시공사 마다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지만, 특정 방법의 문제라기 보다 작업 품질의 문제일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건축설계사무소의 인식 역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며, 정밀한 스펙을 파악할 수 없는 비교 견적에 의한 시공사 선정은 이러한 문제점의 혁격한 개선이 어려운 점입니다.
작업 품질의 문제는 정성이나 신뢰만으로 구현될 수 없는 객관적 실체의 문제입니다.
비온후풍경에서도 여러 방법들을 시행해보았지만 결국, 방법의 문제가 아닌 작업 품질의 문제라고 생각할 수 밖에 없습니다.
<월간 디테일> 기초 수평 평활도 및 열교 없는 패시브하우스 목조주택 기초 XPS 일체 타설 의 내용 역시 일련의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조금이나마 경제적이면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 타설 방법에 대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 습기에 취약한 목재
단독 주택 시장에서 목조 주택에 대한 인식은 그리 좋은 편이 아닙니다.
경량목구조가 도입된지 30년에 가까이 되었지만, 국내 기후 환경을 고려한 객관적 사실 관계에 대한 이해와 인식은 아직도 보편적 기준으로 확립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목조주택은 대체로 허가방이라고 불리는 건축설계사무소와 빌더 혹은 목조주택 전문 시공사 위주로 공급되는 실정으로, 이 과정에서 목구조에 대한 엔지니어링적 설계-시공 해석은 원할하게 이루어지기 힘든 구조입니다.
아래 사진은 몇 년 전 비온후풍경에서 진행한 목조주택 리모델링 현장 사진입니다.
지속적인 누수와 습기로 인해 목구조에서 가장 중요한 토대 부위가 썩어 목구조의 기능을 제대로 하고 있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엄밀하게 목조주택이 습기에 취약한 것이 문제가 아니라, 습기에 취약한 목구조의 특성에 적합한 설계-시공 방법이 적용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일 것입니다.
현재 목조주택을 하자 없이 지을 수 있는 객관적 방법은 충분히 마련되어 있으며, 그렇게 어려운 작업도 아닙니다. 요점은 특성을 이해하고 특성에 따른 합당한 설계-시공 방법을 시공하면 사실 목구조는 훌륭한 재료이자 시스템입니다.
목조 주택 토대 및 기초 부위는 잘 못된 설계-시공 방법으로 습기에 노출되기 가장 쉬운 부위기 때문에 각별한 주위가 필요합니다.
목구조의 토대가 손상되었을 경우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되어버리기 때문입니다.
▍ 흰개미 방지
몇 년 전 흰개미 출현 뉴스로 인해 목조주택의 문제점이 대대적으로 거론된 적이 있습니다. 과거 국내에 흰개미가 없었던 관계로 이에 대한 대비책을 고려하지 않은 채 설계-시공 되었지만, 현재는 이러한 흰개미 문제점을 대응할 수 있는 관련 디테일 및 방법들이 있습니다.
이슈가 되었지만, 목조주택을 지으면서 여전히 잘 고려하지 않는 부분이지만, 흰개미 방지 대책은 목조주택 집짓기에서 꼭 사전에 고려되어야 할 요소입니다.
특히, 습기에 노출된 목재는 흰개미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충해에 구조체에 리스크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될 거십니다.
특정 재료적 속성만으로 좋고 나쁨을 판단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못한 생각입니다.
일례로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목구조보다 튼튼하다 혹은 유지관리가 용이하다는 인식은 반드시 옳은 판단이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재료적 속성보다 중요한 것은 재료적 속성을 이해하고 건축 전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인식, 해석할 수 있는 객관적 사실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내 건축 시장이 다소 비합리적이고 낙후된 점이 없지 않지만, 하자 없는 단독주택 집짓기를 위한 공학적 사실 관계는 충분히 마련되어 있습니다.